[현재 범죄수사 진행방향]
1. 사건이 발생
2. 누군가에 의한 신고제보
3. 신고접수, 수사대 파견
4. 자료수집, 목격자 확보, 진술에 의한 신원대상 범위 파악
5. 대상자 알리바이 확보
6. 현장 수집정보의 대조 비교분석(알리바이 불확실자에 대한 자료 제공)
7. 비대상자 제외시키는 수사기법
현재의 범죄수사는 위의 과정과 비슷한 구조적 흐름을 따른다.
과학수사에 의한 고도의 정밀한 분석으로 접근하지만 불변의 법칙이
목격자나 CCTV를 통한 현장 흐름속에 존재하는 전체 대상자에서 출발
자료가 불충한 사람을 제외시켜가는 구조적 흐름규칙을 따른다.
어떻게 보면 가장 현명한 수사기법일 수 있다. 어떻게 생각하면 굉장히
미개한 방법 일 수도 있다. 수사선상에 올라 있지 않은 용의자라면...
때로는 절대 잡지 못할 수 있는 한계를 포함한다.
[미래의 범죄수사 진행방향]
1. 사건이 발생
2. 신고제보 및 접수
3. 수사대 파견 및 과학수사
과학수사의 수집대상(물리적 자료 및 느낌, 심리적 자료 채취)
4. 수집된 정보를 이용한 대상 객체의 능동적 도출
기존의 수사기법이 범죄 대상에 대한 울타리를 긋고 시작한다면
미래의 수사기법은 그렇지 않다.
물리적, 논리적(심리적) 자료에서 증폭되는 느낌정보까지 추출되어야하고
그 정보로 범죄 객체를 재구성한다.
논리적 자료에서 대상 객체를 재구성하는 방법을 간략하게 정리하면
수집가능한 채취정보에서 객체를 만들어가야 한다.
신발자국에 의한 발크기로 키나 몸무게를 예측하고, 현장의 정보에서
심리적 성향들을 분석하고, 특히나 목소리 정보가 주어진다면 사람의
얼굴 재구성이 가능할 것 같다.
이러한 역할을 수행해야 할 분야의 사람들이 프로파일러다.
프로파일러는 과학수사보다 영리해야 한다.
과학수사가 의학정보와 심리정보에 의한 대상범위내에서 선택하는
것이라면, 프로파일러는 대상범위가 주어지지 않았을때
스스로 객체를 재구성해야하고, 심리적 연상에 의한 모델링 기술이
가능해야 한다.
글쓴이: NCFPTeam
1. 사건이 발생
2. 누군가에 의한 신고제보
3. 신고접수, 수사대 파견
4. 자료수집, 목격자 확보, 진술에 의한 신원대상 범위 파악
5. 대상자 알리바이 확보
6. 현장 수집정보의 대조 비교분석(알리바이 불확실자에 대한 자료 제공)
7. 비대상자 제외시키는 수사기법
현재의 범죄수사는 위의 과정과 비슷한 구조적 흐름을 따른다.
과학수사에 의한 고도의 정밀한 분석으로 접근하지만 불변의 법칙이
목격자나 CCTV를 통한 현장 흐름속에 존재하는 전체 대상자에서 출발
자료가 불충한 사람을 제외시켜가는 구조적 흐름규칙을 따른다.
어떻게 보면 가장 현명한 수사기법일 수 있다. 어떻게 생각하면 굉장히
미개한 방법 일 수도 있다. 수사선상에 올라 있지 않은 용의자라면...
때로는 절대 잡지 못할 수 있는 한계를 포함한다.
[미래의 범죄수사 진행방향]
1. 사건이 발생
2. 신고제보 및 접수
3. 수사대 파견 및 과학수사
과학수사의 수집대상(물리적 자료 및 느낌, 심리적 자료 채취)
4. 수집된 정보를 이용한 대상 객체의 능동적 도출
기존의 수사기법이 범죄 대상에 대한 울타리를 긋고 시작한다면
미래의 수사기법은 그렇지 않다.
물리적, 논리적(심리적) 자료에서 증폭되는 느낌정보까지 추출되어야하고
그 정보로 범죄 객체를 재구성한다.
논리적 자료에서 대상 객체를 재구성하는 방법을 간략하게 정리하면
수집가능한 채취정보에서 객체를 만들어가야 한다.
신발자국에 의한 발크기로 키나 몸무게를 예측하고, 현장의 정보에서
심리적 성향들을 분석하고, 특히나 목소리 정보가 주어진다면 사람의
얼굴 재구성이 가능할 것 같다.
이러한 역할을 수행해야 할 분야의 사람들이 프로파일러다.
프로파일러는 과학수사보다 영리해야 한다.
과학수사가 의학정보와 심리정보에 의한 대상범위내에서 선택하는
것이라면, 프로파일러는 대상범위가 주어지지 않았을때
스스로 객체를 재구성해야하고, 심리적 연상에 의한 모델링 기술이
가능해야 한다.
글쓴이: NCFPTeam
Recent Comment